미국유학준비7 [미국 박사 유학 준비 4] 인터뷰 아마도 지금 많은 분들이 줌으로 비대면 인터뷰를 보고 계시거나, in-person 인터뷰를 준비 중이실 것 같습니다! 인터뷰 프로세스에 도움이 되고자, 이번에는 인터뷰 경험을 공유해드리려고 합니다. 어떤 질문들을 준비해야 할까? 인터뷰 전에 꼭 준비해야 하는 질문들을 몇 가지로 추려보았습니다. 1. Small talk 인터뷰어에 따라서 많이 다르겠지만, 저는 많은 인터뷰에서 small talk의 비중이 꽤 높았습니다. 인터뷰를 시작할 때 보통 small talk으로 시작하기도 하고, 나와 연구분야가 다른 교수가 인터뷰어로 들어왔을 때 연구에 대해서 아주 깊게 얘기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서, small talk은 어느 정도 준비하고 들어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 꼭 특정 내용에 대해서 준비해야 하는 것은 아니.. 2024. 1. 18. [미국 박사 유학 준비 3-3] 추천서 흔히 미국 박사 유학의 3요소라고 하면 1) 학점과 시험점수, 2) SOP, 3) 추천서를 말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. 이 중 학점과 시험점수는 일정 수준만 넘는다면 상관이 없지만, SOP, 그리고 추천서는 정말 많이 중요합니다. 특히, 미국에서는 추천서를 정말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, 유학 지원이 꽤 남으신 분들이시라면 추천서를 부탁드릴 것을 생각해서 교수님들과 관계를 잘 맺어 놓는 것이 좋고, 곧 지원하시는 분들도 최대한 잘 준비하시면 좋은 결과 얻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. 추천서는 누구에게 받는 것이 좋을까? 미국 박사과정 추천서는 보통 3개를 요구합니다. 학교마다 3개를 요구하고 더 제출할 수 있는 곳들도 있지만, 그런 곳들도 4개를 낸다고 해서 절대 더 유리해지지 않기 때문에 '4개의 그저 그런 추.. 2023. 9. 13. [미국 박사 유학 준비 3-2] CV & SOP & PS CV와 SOP는 미국 박사 유학 준비 과정에서 내가 준비할 수 있는 것 중 가장 중요한 두 가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. 그 중에서도 CV는 '빠르게 준비해야 하는 문서'라고 말할 수 있고, SOP는 '빠르게 준비를 시작해서 최대한 많이 고쳐야 하는 문서'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. CV (Curriculum Vitae) CV는 '이력서'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 인터넷에 검색하면 CV와 resume의 차이에 대해서 많이 설명이 되어 있는데, 미국 대학원 입시에서 CV와 resume는 차이가 없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 그냥 나의 학력/경력/연구경험/논문/수상 등 '스펙'을 적는 문서라고 생각하면 쉬울 것 같습니다. 주로 학력과 직업경력을 가장 먼저 적어주고, 그 다음부터는 강조하고싶은 내용의 순서대로 적어주는 것.. 2023. 9. 11. [미국 박사 유학 준비 3-1] Standardized tests : GRE & TOEFL 미국 박사 유학에 제출해야 하는 서류는 크게 세 종류가 있습니다. 시험 점수, SOP, 그리고 추천서입니다. 아마도 세 가지 서류 중에서는 가장 당락에 영향을 적게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, 그래도 필수로 만들어야 하는 점수가 있는 만큼 이 '시험점수'에 대해서 다루어보려고 합니다. 보통 'standardized test'라고 했을 때 의미하는 것은 GRE (또는 GMAT)과 TOEFL이 있는데요, GRE는 코로나 이전부터 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어 오다가 코로나를 거치면서 요구하는 학교가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. 하지만 TOEFL (또는 IELTS) 점수는 어느 학교에 진학하려고 하든 꼭 필요한 시험이기 때문에 유학 지원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시기 전, 이 점수들을 만들어 놓는 것이 좋습니다. GRE G.. 2023. 7. 12. 이전 1 2 다음